본문 바로가기

회계

자본의 구성

1. 자본의 구성을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
회계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산은 부채와 자본, 타인자본과 자기 자본으로 구성되어있다. 
쉽게 생각해보자면, 3천만원짜리 기계를 사려고 잔고를 보니 2천만 원이 있다. 사업에 필요한 기계이기 때문에 부족한 1천만 원은 은행에서 빌리게 되었다. 
이 경우 자산은 3천만원짜리 기계, 부채는 1천만 원, 자본은 2천만 원이 된다. 타인자본 1천만 원, 자기 자본 2천만 원. 그렇다면 더욱더 신경을 써서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어디일까? 아무래도 자기 자본이다. 갖고 있는 돈이 많아야 뭐라도 더 시작하고 대비할 수 있다.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사업 영위에 있어서 위태로운 상황을 많이 마주하게 된다.

2. 자본의 구성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2-1 자본금
자본금은 쉽게 생각하면 보통주 우선주의 주식이다. 발행주식수에 액면금액을 곱하면 해당 회사의 자본금을 산출할 수 있다. 액면금액이 5천 원이고 발행주식수가 1만 주라면 해당 기업의 자본금은 5천만 원이다. 보통주 우선주의 차이는 배당에 있어서 나타난다. 

2-2 자본잉여금
자본잉여금에는 잉여라는 이름에 걸맞게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기 주식 처분이익 등이 해당된다. 영업활동과는 관계없는 자본거래로부터 생겨나며 자본금과 함께 주식거래와 관련이 있음. 

2-2-1 주식발행초과금
주식발행 초과금은 액면가보다 높게 주식을 발행했을 때 발생하는 과목이다. 실적이 좋고 미래 수익성의 기대감이 높은 사업을 진행할 때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의 주식을 발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A회사가 5천 원짜리 주식을 6천 원에 발행했고 A회사의 재무건전성과 양호한 실적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주주들이 100주를 샀다고 해보자.
현금은 60만원이 들어오지만 회계처리 시에는 자본금 50만 원과 주발초 10만 원으로 잡힌다.

2-2-2 감자차익
감자차익은 유상감자 등 자본이 감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익으로, 액면가 5천원짜리 주식 10주를 2천 원에 매입 소각시키는 경우 자본금은 5만 원 감소, 현금 2만 원 감소, 감자차익 3만 원 증가로 잡힌다. 
이게 뭔소리냐면 원래 5천 원짜리 주식으로 유통되고 있었고 자본금에도 5천 원짜리로 잡혀있으나 주식수를 줄이기 위해 2천 원에 주식을 불태워 없애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5천 원짜리를 2천 원에 사서 없앴으니 3천 원의 차익이 생겨난 것.
자산의 증가를 가져오는 경우, 자본금 감소를 가져오는 경우를 나눠서 적용해야함.
(무상감자는 주식수만 줄이는 것이라 자본의 총계는 변함이 없고 과목이 변한다. 자본금 5만 원 감자차익(자본잉여금) 5만 원으로 처리)

2-2-3 자기주식 처분이익
그럼 자기주식 처분이익은 무엇인가? 위의 예는 소각이었으나 이번에는 처분이다. 소각은 아예 존재 자체를 없애는 것이고 처분은 파는 것이다. 
B회사가 주가 안정의 명목으로 5천 원짜리 주식을 1천 주 사들였다. 자기 주식 5백만 원 치가 생기고 현금은 5백만 원이 빠져나갔다. 보유 중에 주가가 우상향 된 것을 확인하고 7천 원에 1천 주를 처분하였으면 어떻게 처리가 될 것인가.
현금 7백만이 들어오고 자기주식 5백만이 빠지고 자기 주식 처분이익 2백만이 잡힌다.
만약 자기주식자기 주식 처분이 아니고 소각의 경우였다면 자본금 7백만이 빠지고 자기 주식 5백만이 빠지고 감자차익 2백만이 잡힌다.

2-3 자본조정
자본잉여금의 반대느낌으로 주식할인발행차금, 감자 차손, 자기 주식 등이 해당한다. 주식할인발행차금은 액면가보다 주식을 낮게 발행해서 손해를 보는 것이고 감자 차손은 자본을 감소하는 과정에서 손해를 보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액면가액 5천 원짜리 주식 1천 주를 감자 하면서 주주에게 주당 7천 원을 지급했다면(순자산의 감소가 발생되는 실질적 감자, 유상감자) 자본금은 5백만 원 감소하고 자산(현금)은 7백만 원 감소 감자 차손 2백만 원이 발생한다. 자기 주식은 취득가액을 자본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잡는다.

2-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자본에 직접 가감되는 항목으로서 자기 주식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그 외의 거래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항목은 매도가능 증권평가손익으로 장기 보유 목적으로 취득한 경우가 많으므로 연말 평가금액이 기타 포괄로 들어간다. (단매증 평가금액은 손익계산서 영업외로 편입된다.)

2-5 이익잉여금
기업의 영업활동에 따라 벌어 들인 이익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이익금은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되거나 재투자를 위해 기업에 유보시켜둔다. 이는 미처분이익잉여금에 해당하고 이 외에 법정적립금과 임의적립금이 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산 과정  (0) 2020.06.16
이익의 산출과정  (0) 2020.06.15
주식변동과 사례  (0) 2020.06.14
유가증권의 분류  (0) 2020.06.13
임대 포함된 건물 감가상각  (0) 2020.06.06